개방주소법 vs 체이닝 방식
용어 | 체이닝에서 사용 여부 | 설명 |
---|---|---|
버킷 (Bucket) | 사용 | 해시 인덱스가 가리키는 컨테이너 (보통 연결 리스트) |
슬롯 (Slot) | ❌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| 개방 주소법에서만 의미 있음 — 테이블의 한 칸 |
체이닝 에서는 슬롯을 사용하지않고, 개방주소법에서는 버킷이 슬롯과 같은 개념이다.
해시 테이블 (버킷 배열) [0] → NULL [1] → [ "cat", 1 ] → [ "tac", 2 ] → NULL [2] → NULL
체이닝 구조에서는 해시 키값이 충돌이 나도 개방주소법처럼 다음으로 선형 이동하지않고,
연결리스트의형태로 연결한다.